본문 바로가기
핫한정보

부가세 신고 가산세 종류 총정리|무신고·과소신고·지연납부까지 한눈에

by 꼬마정보요정 2025. 4. 18.

 

 

부가세 신고는 제때, 정확하게 하지 않으면 가산세 부담이 큽니다.

특히 사업 초기에 실수로 누락되거나, 신고 지연으로 인한 불이익도 흔하죠.

이번 포스팅에서는 부가세 신고 시 적용되는 가산세의 종류와 계산 방식을 안내드립니다.

 


 

✅ 부가세 가산세란?

 

가산세는 납세자가 세법상 의무를 지키지 않았을 때 부과되는 제재금입니다.

고의성이 없어도 부과되며, 세금과 별도로 납부해야 합니다.

 


 

✅ 주요 부가세 가산세 종류

가산세 종류 부과 사유  세율 또는 계산 방식
무신고 가산세 신고하지 않음 산출세액 × 20% (일반), 40% (부정행위)
과소신고 가산세 일부만 신고 과소신고액 × 10% (일반), 40% (부정행위)
납부불성실 가산세 기한 내 납부 안함 미납세액 × 0.022% × 지연일수
영세율신고 불성실 가산세 증빙 미제출 해당 금액 × 1%
세금계산서 미발급 가산세 세금계산서 미발급 공급가액 × 2%
세금계산서 지연 발급 가산세 발급은 했지만 지연 공급가액 × 1%
전자세금계산서 미전송 가산세 국세청 미전송 공급가액 × 0.5% (또는 정액)

 


 

✅ 가산세 예외 및 감면 가능 사례

 

  • 성실신고 확인서 제출 시 가산세 일부 감면 가능
  • 기한 내 수정신고 시 무신고 가산세 대신 과소신고 가산세 적용
  • 자진납부한 경우 납부불성실 가산세 경감 가능

 


 

✅ TIP: 신고·납부 기한 체크는 필수!

 

  • 1기 확정신고: 매년 7월 25일까지
  • 2기 확정신고: 익년 1월 25일까지

 

납부 지연 시, 하루만 늦어도 납부불성실 가산세는 매일 올라갑니다!

 홈택스 자동 알림 설정을 해두시는 걸 추천드려요.

 


 

✅ 결론

 

부가세 가산세는 조금만 방심해도 부담이 커질 수 있는 항목입니다.

정해진 신고·납부 기한을 지키고,

실수나 누락을 줄이기 위해 홈택스 전자신고 시스템을 적극 활용해보세요.